[正論] 위안부 20만 명의 허구 / 上島嘉郎 > 국제교류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正論] 위안부 20만 명의 허구 / 上島嘉郎 > 국제교류 자료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국제교류 자료실

한일갈등타파연대

[正論] 위안부 20만 명의 허구 / 上島嘉郎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4-02-10 02:54

본문

위안부 20만 명의 허구

우에지마 요시로 (上島嘉郎, 『正論』 전 편집장)


전 세계에 퍼진 '위안부 20만 명'이라는 숫자의 출처는?


'한국에는 할 말을 하자'(가제/와니북스 PLUS 신서)라는 책을 2016년 2월에 출간할 예정이라고 지난번에 썼는데, 그 자료를 조사하면서 센다 가코(千田夏光)의 '종군위안부'를 다시 한 번 살펴보았다. 이 책은 1973년(쇼와 48년)에 후타바사에서 출판되었고, 1984년 고단샤 문고에 수록되었다.


그 문고판 서문에서 센다 씨는 중국사변, 대동아전쟁을 일본의 침략전쟁으로 규정한 뒤 다음과 같이 적었다.


“침략전쟁에 종군한 장병들은 도의심, 윤리관을 상실하게 되고, ‘도의심과 윤리관을 상실했을 때 약탈 행위는 전장의 필연’이 된다.


전장에서 병사들은 무엇이든 죽여야만 했다. (중략) 침략군에 대해서는 여자와 아이들도 총을 쏘고, 총을 쏘지 않더라도 후방에 있는 아군에게 보고하기 때문에 이들도 살해의 대상이 되었다. (중략) 사흘 동안 이런 전장 체험을 하면 반미치광이가 된다.


남경 공략전에서 반미치광이로 변한 종군 장병들을 진정시키기 위한 '진정제'로 군이 고안한 것이 본고의 주제인 전대미문의 '종군위안부'였다... (중략)”


센다 씨는 일본은 침략전쟁을 했고 그로 인해 군에 복무한 장병들은 도덕심, 윤리관을 상실해 '반미치광이'가 되었고,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종군위안부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로 증명되지 않았으며 센다 씨가 머릿속으로 그린 구도이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지만, 센다 씨는 인간을 '반미치광이'라든가 '악한 대관(悪代官)에게 비난받는 촌장'과 같은 표현으로 인간성의 복잡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자신이 생각해 낸 틀에 스스로 수집한 증언이나 사실(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서술이 많다)을 끼워 맞춰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한국에는 일본대사관 앞을 포함해 경기도 고양시, 경상남도 거제시 등 한국 시민단체의 노력으로 전국에 '위안부 비석'과 '위안부 동상'이 세워져 있다.


이들 비문에 새겨진 비문은 거의 공통적으로 '성노예'라는 표현과 '20만 명이 강제로 끌려갔다'는 내용이다.


'일본 군・관헌에 의해 조선의 젊은 여성이 20만 명이나 강제 연행되어 위안부가 되었다'는 허위사실을 세계에 퍼뜨린 것은 센다 가코, 요시다 세이지와 함께 이 두 사람의 저술과 증언을 적극적으로 다루며 권위를 부여한 아사히신문이라는 비판도 있다. 사태의 경위를 단순화한 말이지만, 유엔의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나 맥도널드 보고서, 미 하원의 대일 비난 결의안 등에 이것들이 근거로 채택된 경위를 추적해보면 그 인과관계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 우리(일본) 정부의 충돌(외교적) 회피를 위한 사실왜곡의 화근(고노 담화 등)과 인권파 변호사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의 반일 활동 등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센다 씨의 '종군위안부' 내용으로 돌아가면 위안부 숫자에 대해 이런 서술이 있다.


“엄밀한 수치로 오늘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전 서울신문 편집국 부국장이자 현재 문교부 대변인(1973년)을 맡고 있는 정달선 씨가 보여준 서울신문 스크랩 한 장뿐이다. 거기에는 1943년부터 45년까지 정신대(精進隊)라는 이름으로 약 20만 명의 조선인 젊은 여성들이 동원되었고, 그 중 ‘5만 명에서 7만 명’이 위안부로 끌려갔다고 한다.”


정대협과 위안부의 혼동에 대해서는 한일 양국 모두 잘못된 인식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가 다소 깊어졌다고는 생각하지만, 전 세계에 퍼진 '위안부 20만 명'이라는 숫자의 출처는 이 정도인 것 같다.


일본통치시대 한반도의 인구는 그때까지 1천만 명이 채 안 되던 것이 약 2500만 명으로 늘어났다. 총인구가 2500만이라고 했을 때, 그 중 20만 명이라는 것은 남녀노소 합쳐서 125명 중 1명이 위안부로 끌려간 셈이다(약 절반이 남성이니 전체 여성의 약 60명 중 1명이 위안부라는 계산이 나온다!?).


"그 때문에 일본군은 12세 소녀까지 위안부로 삼았다"고 한국에서는 말하는데... 그런 일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이것은 오늘날의 인권 문제가 아니다. 문제의 본질은 일본이 합병 당시 한반도에서 국가 차원에서 계획적으로 군과 관헌을 동원해 수많은 젊은 여성들을 위안부로 강제 동원해 전쟁터 위안소로 보냈는지 여부다.


일본에서는 1958년 매춘방지법이 시행되기 전까지 공창제도가 있었다. 사실 매춘이 합법적이었던 시대의 전장에 민간업자가 운영하는 유곽이 있었고, 그곳에서 조선인(당시 일본 국민) 위안부들이 일하며 보수를 받고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일본도 조선반도도 가난했다. 가난 때문에 젊은 여성이 '인신매매(身賣)'를 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그것을 오늘날의 인권관에 빗대어 비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0만 명이라는 숫자는 허구이다.


사실 이 숫자가 과장된 것임은 1998년 현대사학자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교수에 의해 지적된 바 있다.


하타 교수는 일본 정부가 수집한 20여 종의 공식 문서를 재검토하고, 외무성 자료와 경찰 통계 등을 통해 위안부 총수는 1만여 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 내역도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알려진 조선인 여성은 20% 정도였으며 일본 내지의 여성이 더 많았다. 하타 교수는 그동안 '위안부 총수는 6만~9만 명, 7~8%는 조선인이었다'라고 추정했던 자신의 주장을 수정했다.


하타 교수는 이 밖에도 '전장 위안소의 생활 조건은 평시 유곽과 같은 수준이었다', '위안부의 95% 이상이 고향으로 생환했다', '군을 포함한 관헌의 조직적인 '강제연행'은 없었다', '위안부들에 대한 생활지원은 다른 전쟁 피해자보다 더 후했다'는 등의 사실이 조사에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20년 가까이 전에 이런 지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매스컴과 정치권에서는 이 수치가 외면당했을까?


이 발표를 크게 보도한 것은 산케이신문뿐이었고, 발행부수가 아사히신문의 약 4분의 1이라는 압도적인 정보량 차이도 있었겠지만, 그보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와 보상’의 방식 등을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선행되어 사실 규명이 소홀히 여겨져 왔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당시 잡지 『正論』의 편집자였던 저는 대부분의 신문과 지상파 TV가 이러한 문제를 선입견과 고정관념(도쿄재판 사관)으로만 바라보고 거기서 벗어나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며 이에 대항하는 잡지를 만드는 데 힘썼지만, 요즘 해외의 위안부 동상 뉴스를 볼 때마다 '해는 지고 갈 길이 멀다'는 기분이 든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는 한 패배는 없다'고 믿고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 출처 mag2.com 2016.1.19. 

* 글쓴이: 지난번 뉴스레터에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한일 합의에 대해 썼는데, 2주 이상 지났지만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동상은 철거되지 않고 있다. 

기사 제공: 『미츠하시 타카아키(三橋貴明)의 '신'일본경제신문』 2016년 1월 15일자에서 가져왔다.

기사의 본문 제목은 MONEY VOICE 편집부가 작성한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