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의 위안부 연구를 비판한다!​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입장]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의 위안부 연구를 비판한다!​ > 공지사항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공지사항

한일갈등타파연대

[입장]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의 위안부 연구를 비판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0-12-10 19:51

본문

[입장]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의 위안부 연구를 비판한다!

 

정대협 설립자 윤정옥 교수는 이대학보 2016228일자 기사 어두웠던 '위안부' 실상에 빛을 밝힌 윤정옥 명예교수를 만나다에서 역사적 팩트와 거리가 먼 발언을 통해 자신의 위안부 연구를 정당화했다.

 

첫째, 윤정옥은 일제 치하 어느 날 일본군이 학교에 와서 지원서를 들이밀며 서명을 강요했다고 회고했다. 그리고 당시 그것을 위안부지원서라고 생각해 다음날 자퇴서를 제출하고 해방 때까지 강원도에서 살았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땐 지레 겁먹고 바로 자퇴서를 냈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위안부지원서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그는 2016년 당시 91세 나이의 인터뷰에서 위안부지원서가 아니었던 것 같다면서 그 서류가 무엇인지 말하지 않았다. 윤정옥은 정신대(조선여자근로정신대)’위안부로 혼동한 상태에서 1990년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현 정의연)을 만든 장본인이므로 그 서류를 정신대 서류라고 인정할 경우 정대협의 존재 이유를 부정해야했기 때문이다.

 

또 윤정옥은 보통 위안부에 끌려간 사례들은 산에서 나물을 캐다가 혹은 식당에서 비공식적으로 암암리에 끌려갔거든요. 서류와 같은 증거자료를 남기지 않았던 거죠.”라고 했는데 이는 당시 일제의 제도를 고려하면 위안부 진술에 전적으로 의존한 온정주의적인 인식으로 보인다.

 

위안소 제도는 1916년 시행된 조선총독부의 공창제 아래 중일전쟁 때부터 태평양전쟁 때까지 전시기에 실시한 제도이다. 위안부가 되려면 만 17세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인감이 날인된 취업승낙서가 필요했다. 그리고 여성과 호주와의 관계를 증명하는 호적등본과 인감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했고, 서류를 구비해 관할 경찰서장으로부터 취업 허가를 받아야 했다.

 

따라서 암암리에 끌려갔다는 윤정옥의 연구는 제주도에서 200명의 여성을 납치했다는 내용을 담은 나의 전쟁 범죄(1983)라는 책을 쓴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에 기초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후일 요시다 세이지가 스스로 거짓임을 밝혔고, 아사히 신문조차 2014년 요시다 증언을 허위라고 최종적으로 판단해 그와 관련한 모든 기사를 취소한 바 있다.

 

둘째, 윤정옥은 배봉기 할머니의 최초증언 이후 김학순 할머니 등 여러 할머니들의 증언을 이끌어낼 수 있었어요.”라고 배봉기를 강조했으나 이후 위안부 운동은 전혀 다르게 전개되었다.

 

, 위안부를 14소녀로 미화하려는 이들에 의해 사실상 첫 증언자였던 배봉기는 다른 전 위안부들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 것이다. 그녀는 여자 소개꾼을 통해 위안부로 가게 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이 강제로 끌려간 순결한 소녀이미지에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오늘 여성가족부 홈페이지의 위안부 스토리에는 다수의 성인여성을 일부의 어린 소녀처럼 일반화하고, 민간에서 발생한 취업사기 등 범법행위를 공권력에 의한 약취 및 인신매매처럼 간주하는 증언들이 버젓이 올라 있다.

 

셋째, 윤정옥은 한일 위안부협정에 대해 피해보상금이라는 10억 엔이 위안부할머니에게 돌아가는 것도 아니고 우리나라의 정부기금으로 돌아가죠. 피해자들의 보상을 위한 협정인데, 피해 당사자들에게 일절 의견을 듣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협상이 문제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라고 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2015년 체결된 <한일 위안부 협정>은 모든 전() 위안부 분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일본 정부 예산으로 자금(10억 엔)을 일괄 거출하고, 한국 정부가 전 위안부 분들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피해자 1인당 한화 1억 원을 46명 중 37(2017)에게 지원했다.

 

<한일 위안부 협정> 기금에서도 지원단체의 방해는 이어졌다. <아시아여성기금>을 수령하려는 전 위안부들에게 일본으로부터 더러워진 돈을 받으면, 진짜 창녀가 된다”(전 위안부 고 심미자 증언)고 말린 것처럼 이번에도 지원단체는 전 위안부들이 <화해·치유재단> 지원금을 받지 못하게 방해한 정황이 드러났으며 급기야 재단 업무가 중단된 상태이다.

 

이상에서 보듯 윤정옥의 연구는 일제의 법제도 및 위안부 실태에 대한 역사적 사실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심지어 5년 전 <한일 위안부 협정>에서 전 위안부에 대한 지원금을 우리나라의 정부기금이라고 잘못 인식하고 있을 정도이다. 그리고 이러한 오판은 오늘 정의연(정대협)에서도 여전히 승계되고 있다.

 

이화여대 윤정옥 명예교수에게 정중하게 촉구합니다.

 

윤 교수는 연구자로서 이제라도 자신의 잘못된 위안부 연구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철회함으로써 후학들의 불필요한 지원단체를 해체케 지도하고, 위기에 처한 한일간 외교참화를 막아내는 데 여생을 바치시기를 간곡하게 권하는 바입니다.

 

2020.9.8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 여성가족부해체추진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