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일제 전시기 우리 선조를 노예로 일반화한 반일 동상은 한국인 노동자 명예를 훼손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4-06-22 22:32본문
[성명서] 일제 전시기 우리 선조를 노예로 일반화한 반일 동상은 한국인 노동자 명예를 훼손한다
민노총 등은 지난 19일 서울 용산역광장에 있는 일제강제징용노동자상(징용상) 앞에서 경남 거제 징용상 건립을 촉구했다. 이어 민노총 경남지역본부는 20일 경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거제시는 노동자상 건립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라"고 요구했다.
민노총 등이 거제 징용상 설치에 이토록 집착하는 이유는 자명하다. 서울 한복판인 용산역광장 등에도 설치한 징용상이 거제에서 불허됨으로써 이 동상의 전국화가 멈춰졌기 때문이다. 서울 등에 설치된 기존의 징용상은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반일 포퓰리즘에 기대어 강행할 수 있었는데 더 이상 이 같은 무단 설치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징용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이른바 ‘평화의 소녀상’으로 불리는 일본군‘위안부’ 동상(위안부상)이 자리하고 있다. 144개로 알려진 국내 위안부상은 다수가 법적 근거가 없거나 일부는 지자체 조례로 합법화된 상태이다. 그리고 불법 징용상은 대부분 위안부상 인근에 설치되어 이곳을 지나는 시민들의 시선을 자연스레 유도한다.
징용상과 위안부상의 공통점은 일제에 ‘강제로 끌려간 노예’라는 피해자 중심주의 이미지이다. 이러한 식민지 이데올로기는 ‘일제 강점기’로 간단히 축약한 ‘반일 교육’에 힘입어 위안부상과 징용상을 나란히 배치해도 역사·문화계나 정치계 어느 누구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이와 같은 국내 지식인들의 무책임한 침묵은 과거사에 대한 성역을 배태했고, 이를 간파한 민노총 등은 정의연(전 정대협)의 성공적인 위안부상 설치에 이어 징용상을 추가하려 했다. 만약 징용상 설치가 순조로울 경우 한국인들은 위안부상과 징용상을 동시 참배함으로써 일제에 의한 ‘노예’적 삶에 분노한 나머지 반일 감정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일제하 우리 선조들이 과연 ‘노예’적 삶을 살았는지 팩트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일본제국주의 식민통치 시기 한반도 사람들의 모습은 다양했다. 일부는 나라를 걱정하며 독립운동에 뛰어들었고, 다수는 생활고에 시달리며 생계에 급급했으며, 적지 않은 지식인들은 일제를 통해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였다.
여기서 쟁점은 35년간 식민지 시기와 8년간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전시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일제 식민지 시기는 서양의 선발 제국주의를 벤치마킹한 후발 제국주의의 한 형태였다. 따라서 제국주의가 외부로 표출돼 충돌한 ‘전시기’에 국한해야 징용령에 의한 ‘강제동원(징용)’ 설명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일제 강점기’로 강제동원을 확대하면 관념적인 ‘100년 전쟁’의 무한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인류사에서 제국주의 전쟁이 그러했듯 일제가 전쟁을 일으켜 희생당한 지구촌 사람들은 국적을 가리지 않는다. 여기에 한민족만 특별하게 피해 의식을 강조해 ‘노예’적 삶으로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일제는 자신들이 참화를 부른 전쟁 책임을 국제 관계에서는 샌프란시스코 조약(1951년)으로, 한일 관계는 기본조약과 청구권협정(1965년) 등으로 종결했으므로 더 이상 재론하는 것도 무의미하다.
일제하 전시기 일본의 일부였던 한반도에서 우리 선조의 삶을 노예로 일반화한 반일 동상은 과거와 현재에 있어 한국인 노동자의 명예를 치명적으로 훼손한다. 왜곡된 이미지의 징용상 등 반일 동상을 반드시 철거해야 하는 이유이다.
2024.6.22.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