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질서와 인종정치: 위안부 서사 관련 국제포럼을 조직하자 / 한국인권뉴스 > 국제교류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후 질서와 인종정치: 위안부 서사 관련 국제포럼을 조직하자 / 한국인권뉴스 > 국제교류 자료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국제교류 자료실

한일갈등타파연대

전후 질서와 인종정치: 위안부 서사 관련 국제포럼을 조직하자 / 한국인권뉴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7-24 05:26

본문

[한국인권뉴스 사설]
전후 질서와 인종정치: 위안부 서사 관련 국제포럼을 조직하자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 질서는 관성적인 ‘기억’을 통해 재편되었다. 그 기억은 뉘른베르크와 도쿄 재판에서처럼 공정하거나 보편적이지 않았다.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는 세계인류가 함께 기억하고 반성하는 보편적 윤리로 승격된 반면, 일본 제국주의의 만행은 인종적 타자화와 야만성으로 고착되었다.
그리고 이 기억정치의 최전선에 일본군‘위안부’ 이슈가 놓여 있다.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전범국의 이중 잣대
전후 국제 사회는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라는 두 전범국을 차별적으로 다뤘다. 독일은 유럽 중심의 ‘파시스트적 악’으로 인식되어 내부적 성찰과 외부적 화해의 틀에서 책임진 것으로 간주되었다. 반면 일본은 비서구의 ‘문명적 야만’으로 낙인찍혀 인종적 편견과 결합된 전범 이미지가 고스란히 남았다.
특히 일본군‘위안부’ 사안은 일본만의 ‘특별한 죄악’으로 치환되었는데, 이는 나치 독일군 및 연합군의 성매매 현상을 논외로 한, 당시 미국과 유엔 등 국제기구가 주도한 인권·전쟁범죄 프레임의 인종주의적 구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위안부 서사의 국제화와 인종정치
정대협(현 정의연) 등 한국 시민사회는 위안부 이슈를 세계적 여성인권 문제로 확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복음주의적 윤리관과 제3세계 여성주의가 결합하여 피해 여성은 ‘성노예’라는 도덕적 상징으로 전락하게 된다. 이는 서구가 동아시아 제국주의의 책임을 ‘도덕적으로 단죄’하는 방식이자, 동시에 자기구원의 ‘순결이데올로기’ 서사와 조우한 결과였다.
또한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관련자들은 자신의 전시 성폭력 기억을 위안부 서사와 등치시키며 ‘피해자’라는 정체성을 확대하려는 정대협의 세계화 시도에 동참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각국의 역사적 현실과 맥락을 단순화하거나 왜곡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한국의 역할과 기억권력
한국은 위안부 서사를 국제사회에 확산하는 ‘기억 관리자’로 자리매김했다. 그 과정에서 ‘피해자’라는 단일한 서사가 지배적 담론이 되었고, 피해여성으로 관념된 각 개인의 복잡한 삶의 경험과 성노동은 일괄 배제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레디컬 페미니즘에서 발원한 국가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위안부 이슈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면서 전근대적 성도덕 규범을 오늘에 강제하는 법·제도(성매매 특별법 등)가 완성되었다.
 
기억의 탈식민화와 인종주의 극복, 그리고 국제포럼
우리는 이제 일본 제국주의의 책임 문제를 넘어, 전후 질서 속에 자리한 인종정치와 기억의 권력구조를 직시해야 한다. 기억이 권력으로 작동할 때, 정작 피해자의 목소리는 쉽게 왜곡되고 도구화될 수 있다.
한국 사회는 정치적인 “기억의 문명화”가 아니라, 휴머니즘적인 “기억의 탈식민화”를 통해, 피해자의 존엄을 회복하고, 인종주의적 프레임을 넘어서야 한다. 동·서양을 관통하는 전후 과거사 국제포럼을 조직해 인종정치가 지닌 모순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 위안부 서사의 세계화를 멈춰야 한다.
2025년 7월 24일



[Editorial – Korea Human Rights News]

Postwar Order and Racial Politics: Toward an International Forum on the “Comfort Women” Narrative


The international order after World War II was reshaped through the inertia of “memory.” But this memory was neither fair nor universal—as evidenced in the Nuremberg and Tokyo Trials. While Nazi Germany’s Holocaust was elevated to a universal ethical imperative remembered and reflected upon by all humanity, the atrocities of Japanese imperialism were fixed as racialized barbarism and otherness.

At the forefront of this politics of memory lies the issue of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women.”



– Nazi Germany and Imperial Japan: A Double Standard for War Criminal States

The postwar international community treated the two war criminal states—Nazi Germany and Imperial Japan—differently. Germany was positioned as a fascist evil rooted in Europe, and was considered to have taken responsibility through internal reflection and external reconciliation. In contrast, Japan was stigmatized as non-Western “civilized barbarism,” and its image as a war criminal became entangled with racial prejudice.

The issue of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women” was thus transformed into a uniquely “Japanese” atrocity. This reflected the racially biased framework of human rights and war crimes propagated by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international bodies at the time—one that excluded the sexual commerce involving Nazi and Allied troops from scrutiny.



– The Globalization of the Comfort Women Narrative and the Politics of Race

Korean civil society groups, including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Previous Women's Workforce Countermeasures Council), globalized the comfort women issue as a matter of women’s human rights. In this process, evangelical moralism fused with Third World feminism, reducing the women to the symbolic figure of the “sex slave.” This became both a moral indictment of East Asian imperialism by the West and a reflection of the West’s own redemption-seeking “ideology of purity.”

In various Asian countries,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wartime sexual violence began to identify with the comfort women narrative and joined the globalization effort led by the Korean Council. However, this movement often simplified or distorted the historical realities and contexts of each nation.



– South Korea’s Role and the Power of Memory

South Korea positioned itself as the global “curator of memory” for the comfort women narrative. In doing so, a singular “victim” discourse became dominant, while the complex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women—many of whom were sex workers—were erased from public memory.

Meanwhile, within South Korea, state-centered feminists—particularly those aligned with radical feminism—instrumentalized the comfort women issue for political purposes, leading to the enforcement of archaic sexual norms in modern law and institutions, including the Special Law on Prostitution.



– Decolonizing Memory, Confronting Racism, and Convening a Global Forum

Now is the time to look beyond the issue of Japanese imperial responsibility and confront the racial politics and memory structures embedded in the postwar international order. When memory becomes a form of power, the voices of actual victims are often distorted or instrumentalized.

South Korea must move away from a politicized “civilization of memory” toward a humanistic “decolonization of memory,” restoring the dignity of victims and transcending racialized frameworks. A truly global forum—bridging East and West—must be organized to address the contradictions of racial politics in postwar historical discourse. The globalization of the comfort women narrative must come to an end.


July 24, 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hakzhanls@hanmail.net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