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타련 [10문 10답] 위안부와 성노동/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7-25 09:39본문
한일갈등타파연대 [10문 10답] 위안부와 성노동/자
❶ Q. 왜 위안부 문제를 ‘성노동/자 담론’과 연결하자는 것인가요?
A. 위안부는 일제하 전시기 당시 ‘공창제’와 민간 계약 구조 속에서 작동한 ‘성노동’sex work 구조의 일부였습니다. ‘취업사기’ 등 범죄와 별개로, 피해의 실상은 더 복합적이며, 오늘날 ‘성노동자’sex workers 에 대한 사회적 배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연결을 회피하는 한, 진실을 온전히 말해지지 않습니다.
❷ Q. 위안부를 ‘성노동자’라 부르면 모욕 아닙니까?
A. ‘성노동’은 모욕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렇게 여기는 시선 자체가 삶에서 성인 사이에서 일(Works)의 한 형태로 이어져 온 ‘성노동’을 비인간화하는 것입니다. 위안부를 성역화하거나 ‘소녀’ 아이콘으로 만든 것은 국가주의적 ‘순결 이데올로기’입니다. 우리는 피해자성을 훼손하려는 것이 아니라, 침묵당한 진실과 계보를 회복하려는 것입니다.
❸ Q. ‘기림의 날’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보나요?
A. ‘기림의 날’은 위안부 피해자의 기억을 기리는 명분 아래, 실상은 ‘내셔널 페미니즘’National Feminism 과 ‘도덕 파시즘’Moral Fascism 의 동원 장치가 되었습니다. 위안부를 ‘국가의 상징자산’으로 추모하는 방식은 국가 중심 서사로 과거사를 봉인하는 것입니다. 이는 실재했던 인간들의 기억을 소외시킨 망각의 정치입니다.
❹ Q. ‘내셔널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요?
A. ‘레디컬’Radical 페미니즘(근본주의적 여성주의)과 ‘민족/국가주의’Nationalism 가 결합해, ‘국가적 여성 피해자’를 성역화하고, 이를 통해 외교·도덕적 우위를 주장하는 정치적 흐름입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위안부를 ‘민족의 딸’로 고정하고, 이를 일본 때리기와 성 금지주의 강화에 활용하는 대표적인 담론입니다.
❺ Q. 일본의 가해 책임을 옹호하려는 건가요?
A. 전혀 아닙니다. 일본 제국주의의 아시아-태평양 전쟁 범죄는 명백히 규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위안부의 다층적 실상을 왜곡하고, 현재의 성노동자들 또한 피해자(희생자)로 기정사실화하려는 정치적 도구가 되어선 안 됩니다. 일본이 사과한 바 있는 가해 부분과 역사 서사의 진실을 회복하는 것은 별개입니다.
❻ Q.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부’였다는 주장과 유사하지 않나요?
A. ‘자발’과 ‘비자발’은 일제 식민지 당시 성산업(공창제)의 맥락 속에서 간단히 흑백으로 나눌 수 없는 개념입니다. 우리는 단순화된 ‘자발=합법’식 논리를 따르지 않으며, 그 복합성을 말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오히려 ‘강제 납치된 소녀’라는 단일한 이데올로기는 과거사 팩트를 차단하려는 기만적 언어 전술로 봐야 합니다.
❼ Q. 현재의 성노동자들과 위안부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A. 위안부는 과거의 존재지만, 그 서사가 오늘날 성노동자에 대한 도덕적 억압의 근거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위안부가 성노동과 무관하다는 국가 담론은 성노동자를 더 깊은 사회적 추방 상태로 몰아넣는 메커니즘입니다. 따라서 의도적인 과거사 ‘기억 정치’를 통해 현재를 억압하는 구조를 해체해야 합니다.
❽ Q. 이런 주장은 극우 세력의 역사왜곡 주장과 다를 바 없지 않나요?
A.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우리는 ‘위안부는 매춘부였다’는 단선적인 선악 식 규정을 거부합니다. 동시에 국가적 신화로 만든 ‘순결한 소녀’ 서사 레토릭의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진실은 좌우 어디에도 독점될 수 없습니다. 우리의 활동은 전시기와 평시 모두 ‘성노동’ 관련 주체들의 실제 목소리에 연대해야 한다는 ‘기억의 민주화 운동’입니다.
❾ Q. 이런 이야기를 하면 정치적으로 고립되지 않나요?
A. 기득권자들인 페미니즘과 민족/국가주의 진영에서 공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스스로 침묵과 자기검열에 머문다면, 결과적으로 더 큰 억압 시스템인 도덕주의적인 연성 파시즘Soft Fascissm의 조력자가 되고 맙니다. 고립이 아니라 인간해방의 서사를 다시 쓰기 위한 지성의 적극적 연대가 필요합니다.
❿ Q. 우리는 이제 무엇을 해야 하나요?
A.
▸ 위안부 이슈를 ‘성노동/자’의 관점에서 재서사화 해야 합니다.
▸ 기림의 날을 인류사적인 ‘성노동/자 연대의 날’로 바꿔야 합니다.
▸ ‘성노동’이라는 말조차 금기어로 만든 도덕주의적 폭력에 맞서야 합니다.
▸ ‘성적 자기결정권’등 헌법상 개인이 누려야 할 기본권을 되찾아야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