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중국영화 ‘731’은 상영 예정, ‘건국전쟁2’는 상영 불허.. 예술 형평성은 어디에 있는가?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평] 중국영화 ‘731’은 상영 예정, ‘건국전쟁2’는 상영 불허.. 예술 형평성은 어디에 있는가? > 공지사항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공지사항

한일갈등타파연대

[논평] 중국영화 ‘731’은 상영 예정, ‘건국전쟁2’는 상영 불허.. 예술 형평성은 어디에 있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10-13 14:02

본문

[논평] 중국영화 ‘731’은 상영 예정, ‘건국전쟁2’는 상영 불허.. 예술 형평성은 어디에 있는가?

 

1. 예술은 기억의 심판관이 아닌, 자유의 증언자
침략전쟁으로 인한 대량살상과 비윤리적 인체실험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가 함께 짊어져야 할 문명사적 야만의 증거다.
가까이는, 중국은 북한의 남침에 공모하여 6·25전쟁 당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한 전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부대의 인체실험, 그리고 지구촌을 재앙으로 몰아가는 핵실험들까지.. 국가의 이름으로 인간의 존엄을 훼손한 행위는 그 어디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다.
고로 우리는 물어야 한다. 그 참혹한 역사를 다루는 영화가 ‘진실을 위한 증언’인가, 아니면 특정 ‘국가의 정치적 선동’인가. 예술은 기억을 보존할 권리를 갖지만, 그 기억이 ‘정치적 동원 체계’로 이용되는 순간, 예술은 더 이상 자유의 증언자가 아니라 ‘이념의 검열도구’로 전락한다.
 
2. 중국영화 ‘731’은 예술의 외피를 쓴 선전전
중국에서 개봉한 영화 ‘731’은 개봉 하루 만에 76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신기록을 세웠다. 개봉 시각은 9월 18일 오전 9시 18분, ‘만주사변 기념일’이라는 정치적 상징과 완벽히 일치한다.
중국에서 상영되는 모든 영화는 국가영화국의 검열과 허가를 통과해야 한다. 즉, ‘731’은 예술의 외피를 쓴 국가 승인의 ‘정치 메시지 전달체’이다.
이 영화는 현재 미·중 갈등 구조 속에서 반일 감정을 고조시켜 한·미·일 협력 구도를 흔들려는 ‘감정정치의 도구’이자, 역사를 외교의 무기로 사용하는 ‘문화전쟁의 선전물’이다.
그런데 이 영화가 한국에서도 개봉될 예정이다. 중국의 정치영화가 한국의 영화심사를 무사히 통과하는 동안, 정작 한국의 독립 다큐멘터리는 상영조차 불허당하고 있다.
 
3. ‘건국전쟁2’ 상영 불허, 예술 형평성의 붕괴
김덕영 감독의 다큐멘터리 ‘건국전쟁2’는 이승만 대통령의 역사적 평가를 다루는 독립영화다. 전편 ‘건국전쟁’(2024년)은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음에도 지난해 국내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영화진흥위원회는 후속작에 대해 “독립영화 불인정”이라는 이례적 결정을 내렸다. 최근 정권의 변화와 더불어 관점을 달리해 대중적 공식 상영의 기회가 원천 차단된 것이다. 한편, 중국의 검열 통과 선전영화는 아무런 제재 없이 상영이 허가되었다. 이것이 형평성인가, 아니면 친중 성향 권력의 ‘자기검열 제도화’인가? 과거사를 소환한,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주의)의 이름으로 행정적 불평등을 합리화하는 게 오늘날 한국 문화정책의 실체 아닌가.
 
4. 돌아온 괴벨스의 유령
나치의 선전장관 괴벨스는 말했다.
“대중의 감정을 자극하는 예술이야말로 정치의 가장 강력한 무기다.”
그는 영화·문학·연극을 통해 예술의 언어로 이념을 주입하는 기술을 완성했다. 중국의 ‘731’은 괴벨스적 감정정치의 현대판이며, 이에 맞서야 할 한국의 영화정책이 오히려 내부 검열의 구조로 기울고 있다면, 그것은 외부의 선전보다 훨씬 위험한 내면화된 통제가 된다.
중국의 ‘731’은 허가되고, 한국의 ‘건국전쟁2’는 불허된다. 누가 예술을 자의적으로 재단하는가? 검열된 영화가 자유롭게 상영되고, 자유로운 영화가 검열로 묶인다면, 그것은 형평성이 아니라 ‘정치적 폭압’이다.
 
예술의 자유는 문명의 심장이다. 문화예술은 기억의 통제장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예술의 형평성이란 정치적 중립이 아니라,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비대칭의 공간’이다. 예술은 권력의 시녀가 아니라, 인간의 증언자다.
만약 한국이 중국의 ‘반일 감정정치’에 편승하거나 방관한다면, 그 결과는 대한민국의 안보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치명상으로 귀결될 것이다.
“예술의 자유가 위축될 때, 민주주의는 숨 쉴 곳을 잃는다.”
 
2025년 10월 13일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hakzhanls@hanmail.net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