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광복 80주년, 다시 불붙는 반일 선동이 위험하다 - 기원은 위안부·정신대 혼동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성명서] 광복 80주년, 다시 불붙는 반일 선동이 위험하다 - 기원은 위안부·정신대 혼동 > 공지사항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공지사항

한일갈등타파연대

[성명서] 광복 80주년, 다시 불붙는 반일 선동이 위험하다 - 기원은 위안부·정신대 혼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8-15 22:00

본문

[성명서] 광복 80주년, 다시 불붙는 반일 선동이 위험하다
- 기원은 위안부·정신대 혼동, 과거사 정책 일관성 유지해야
2025년 8월 15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또다시 한국 사회 곳곳에서는 반일 감정을 자극하는 선전·선동이 재점화되고 있다. 이는 과거사를 이용한 정치적 동원이며,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을 가로막는 퇴행적 행태다.
1. 위안부와 정신대의 혼동, 왜곡된 출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조선여자근로정신대(정신대)와의 착오에서 비롯됐다. 이는 윤정옥 등 국내 여성계 인사들에 의해 1990년 결성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의 명칭이 ‘위안부’ 아닌 ‘정신대’를 전제로 했다.
정신대는 12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 여성을 군수공장에 동원한 노동 조직이었으며, 조선에서는 여자정신근로령이 정식 발령되지 않았다. “정신대 = 위안부”라는 등식은 전시기 ‘유언비어’에 불과했다.
미군 보고서에 따르면 일제하 공창제 아래 실제 일본군‘위안부’ 평균 연령은 약 25세였다. 그럼에도 이런 팩트는 의도적으로 배제된 채, ‘10대 소녀 강제연행’이라는 이미지가 30여 년간 정치적 갈등의 불쏘시개로 쓰여 왔다.
2. 광복 80주년, 반복되는 정치적 동원
올해 8.15를 전후해 나타난 움직임은 한·일 갈등을 재점화하려는 흐름으로 읽힌다.
∙ 후원금 횡령으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윤미향(정대협 대표) 사면
∙ 조국혁신당의 국회 소녀상(위안부상) 건립 촉구 기자회견
∙ 전남 광주시의 ‘일제강제동원 시민역사관’ 추진과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시도
∙ 전남 영암군의 일제하 ‘위안부 강제동원 알림’ 주민 ‘서훈’ 추진 시사
이런 행보는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국가 전략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3. 대통령의 ‘정책 일관성’ 결여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초 “국가 간 신뢰와 정책의 일관성”을 강조하며 전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을 존중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위안부 기림의날 메시지에서는 “역사 진실이 바로서지 않는 한 광복은 불완전하다”며 위안부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을 부정한 문재인 정권의 행보를 답습하며, 실용 외교의 일관성을 스스로 훼손하는 것이다.
□ 우리의 요구
1) 역사 팩트를 존중하라
위안부와 정신대는 엄연히 다른 역사적 사실이다. 정치적 목적의 혼동과 왜곡을 중단하라.
2) 정책의 일관성을 지켜라
한일관계는 신뢰 구축이 핵심이다. 과거사를 국내 정치에 반복적으로 동원하는 행위는 국익을 해친다.
3) 기억 정치의 남용을 중단하라
과거의 비극을 오늘의 정치 무기로 재가공하는 것은 미래 세대를 위한 화해와 협력을 가로막는다.
우리는 광복의 의미를 ‘증오의 재생산’이 아니라 ‘사실에 입각한 화해와 협력’에서 찾는다.
반일 선전·선동은 피해망상이자 외교적 자해 행위다.
과거사를 특정 권력의 무기화에서 해방시키는 것, 그것이 국제 관계 속 대한민국의 진정한 광복 완성이다.
 
2025년 8월 15일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hakzhanls@hanmail.net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