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위안부 이슈는 성노동/자 담론과 연결 재서사화 해야 - ‘기림의 날’에 즈음하여 묻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7-21 14:49본문
[성명서] 위안부 이슈는 성노동/자 담론과 연결 재서사화 해야
- ‘기림의 날’에 즈음하여 묻다
오는 8월 14일, ‘기림의 날’(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앞두고 전국 지자체가 행사 준비에 바쁘다. 그러나 ‘기림의 날’이 관성적으로 위안부 이슈를 국민감정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국가주의적 여성서사에 동원되고 있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누가 무엇을 기억하게 만들며, 누군가의 실존을 지워가는 행사가 어떻게 국가의 기념일이 되었는가.
‘기림의 날’, 기억의 정치인가 망각의 정치인가
‘기림의 날’은 피해자 중심주의의 외피를 두르고 있으나, 실상은 역사적 성노동자 일반의 기억을 봉인하고, 맥락 속에서 위안부의 ‘다층적 존재조건’을 배제하는 기억의 독점 정치라고 할 수 있다. 위안부는 분명 일제 군국주의와 식민지 여성의 취약성이 교차적으로 반영된 존재였다. 그런데 이들 모두는 권력에 의해 ‘강제 납치된 순결한 소녀’였는가.
우리는 질문해야 한다. 여성계 스스로가 ‘성노예’로 명명한 위안부를 ‘독립운동가 이상’으로 성역화하면서, 동시에 오늘의 성노동자는 금지주의적 체계 아래 불법화로 혐오케 내몬다면, 그런 모순된 기억의 명분은 대체 누구를 위한 것인가.
내셔널 페미니즘과 금욕주의적 국가권력
한국 사회의 여성운동은 오래전부터 레디컬 페미니즘과 극단적 민족주의(국수주의) 결합을 통해 ‘국가주의 페미니즘’으로 진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피해여성 서사는 정대협(현 정의연)과 여가부를 축으로,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및 미 하원 결의안 등을 통해 전 지구적 기억동맹으로 나아갔다. 위안부를 민족정체성의 거룩한 상징 자산으로 설정하고 이른바 ‘평화의 소녀상’이라는 조형물을 국내외에 배치하는 등 방식으로 성 도덕적 순결주의를 세계화하려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이들이 확립하려 한 것은 여성의 정조 신성화, 성 피해의 성역화, 남성의 원죄화, 일본의 영구적 속죄 의무였다. 그러나 이 담론은 오늘날 성노동 금지 법제도화(성매매 특별법)로 이어져, 아이러니하게도 절박한 삶에 처한 성노동자의 현실을 삭제하고, 다수의 성 빈곤층 남성들을 거세의 대상으로 관념케 하는 모럴 테리리즘으로 확장되었다.
성노동/자의 관점에서 위안부를 다시 말하자
위안부 이슈는 더 이상 국가주의적 기억의 일방적인 도구로 환원될 수 없다. 이제 우리는 성노동/자의 관점에서 위안부를 재서사화(re-narrate)해야 한다. 위안부는 기본적으로 일제하 계약 시스템이었던 공창제 하에서 민간 브로커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되었다. 다만 전시에 이 제도를 전장 인근에 배치하는데 군이 관여한 차이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단지 ‘희생자’가 아닌, 전시기 각 개인적 삶의 조건 아래 다양한 형태로 조성된 비자발과 자발이 혼재된 복합적인 존재였던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성노동’을 인식하는 주체로서 성인의 권리가 중요하다. ‘권력과 자리’를 탐한 야심가에 의해 위안부가 ‘순결한 피해자’로만 규정하는 순간, 구 위안부와 오늘을 살아가는 성노동자들의 입은 봉해지고, 성적 자기결정권은 박탈되며, ‘기억의 정결성’을 명분 삼은 자들에 의해 그 사회는 국가적 도덕주의 파시즘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성노동자(sex worker, prostitute)는 인류사적 존재이며, 위안부 역시 당연히 그 계보에 포함된다. 그리고 그 수요의 언저리에는 성 기근(sexual drought)에 처한 이들이 항상 존재한다. 그런 의미에서 ‘기림의 날’은 ‘내셔널 페미니즘’ 선동의 날이 아닌, 모든 성노동/자 관련 담론에 대한 성찰의 날로 변화해야 한다. 위안부 서사의 탈순결화, 탈민족화, 탈국가화를 지향할 때만이, 우리는 그녀와 그들에게서 진정한 기본권적 인권과 인간 해방의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2025.7.21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