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세계유산인가, 왜곡인가 – 하시마섬 논쟁 넘어 사도광산까지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성명서] 세계유산인가, 왜곡인가 – 하시마섬 논쟁 넘어 사도광산까지 > 공지사항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공지사항

한일갈등타파연대

[성명서] 세계유산인가, 왜곡인가 – 하시마섬 논쟁 넘어 사도광산까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7-09 14:46

본문

[성명서] 세계유산인가, 왜곡인가 – 하시마섬 논쟁 넘어 사도광산까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10년을 맞은 일본 하시마섬(端島, 일명 군함도)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일본이 과거 유네스코 등재 당시 약속했던 일제하 조선인 강제노역에 대한 역사적 설명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고, 이 문제는 최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표결에 부쳐졌지만, 한국이 주장한 입장은 국제사회의 다수 지지를 얻지 못한 채 부결되었다.
하시마섬은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일본 근대화의 상징으로 기능했던 대표적 탄광도시였다. 고층 철근콘크리트 아파트와 석탄 채굴시설이 남아 있는 이 섬은 2015년 일본 근대산업혁명의 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당시 일본은 조선인 강제동원과 관련된 설명도 병기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후속조치는 실제 이행되지 않아 한국 노동계와 정부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일갈등타파연대는 이 사안을 다루는 방식에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첫째,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볼 때 ‘강제징용’이 하시마섬 전체 역사를 대표할 수 있는가. 실제로 한반도에 대한 강제징용은 1944년 9월 이후 약 8개월간 집중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모집과 관알선 등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노무동원이 주를 이뤘다. 120년에 달하는 하시마섬의 산업사에서 일제하 8개월의 시기를 현재 한국 사회가 ‘피해의 중심서사’로 과도하게 강조하는 것은 균형을 잃은 역사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는 1965년 한일기본조약 및 청구권협정을 통해 국제법상 종결된 사안이다. 한국 정부는 당시 일본으로부터 유무상 총 5억 달러를 수령했고, 이는 이후 한국 산업화의 결정적인 기반이 되었다. 2005년 노무현 정부 시절 민관공동위원회에서도 청구권협정으로 “포괄적 보상 종결”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반복적으로 ‘과거의 상처’를 동원하여 정치적 이익을 도모하는 방식은, ‘기억’의 이름으로 또 다른 왜곡을 생산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셋째, 한국의 일부 단체들은 조선인 강제노역을 상징한다며 일본인 사진과 같은 허위 이미지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해 국내외에 선전해 왔다. 대표적으로 뉴욕 타임스퀘어에 상영된 '군함도 강제노역' 관련 광고에는 일본 사진가 사이토 고이치의 일본인 갱부 사진 등이 무단 사용되었으며, 해당 캠페인을 주도한 인사조차 오류를 인정하고 사과한 바 있다. 이런 류의 왜곡된 일본인 사진은 한국 교과서와 강제동원역사관 추모탑에 ‘강제징용 조선인’ 이미지로 사용되어오다 문제점이 밝혀져 삭제·교체되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우리는 단지 하시마섬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같은 방식으로 전개되는 사도광산 문제 역시 ‘기억의 정치’가 반복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일본이 유네스코에 등재 신청한 사도광산은 에도 시대의 금광으로서 4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고, 일본 측은 이 유산을 ‘센고쿠~에도시대’로 한정하여 신청했다. 그럼에도 한국 정부는 20세기 중반의 조선인 노무동원 역사를 반영하라며 또다시 갈등을 확산시키고 있다.
- 우리의 입장 -
· 유네스코는 일본의 약속 불이행에 대해 투명한 평가와 시정을 요구하되, 정치적 기억투쟁의 장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 한국 정부는 과거사를 반복적으로 정치화하지 말고, 국제적 신뢰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외교 노선을 구현하라.
· 세계유산위 표결을 두고 "외교 무대에서 패배의 전례만 남겼다"고 한 나경원 류의 국민의힘은 하시마섬과 사도광산 역사를 공부하라.
· 노동단체는 반일 정치를 위한 감정적 동원이나 이미지 조작 선전을 즉시 중단하라.
피해 중심 서사의 독점은 새로운 갈등과 혐오를 낳을 뿐, 진정한 화해와 연대를 이끌 수 없다. 역사는 진실 위에서만 유산이 된다. 우리 사회가 이 보편적 기준 위에서 다시 설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5.7.9.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hakzhanls@hanmail.net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