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역사 왜곡과 반일 선동,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 – 프레시안 기고문 위안부 관련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성명서] 역사 왜곡과 반일 선동,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 – 프레시안 기고문 위안부 관련 > 공지사항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공지사항

한일갈등타파연대

[성명서] 역사 왜곡과 반일 선동,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 – 프레시안 기고문 위안부 관련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9-03 13:48

본문

[성명서] 역사 왜곡과 반일 선동,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
– 프레시안 기고문에 대한 한일갈등타파연대의 입장

최근 프레시안이 게재한 「정상회담 성과 뒤에 다시 버려진 '위안부' 피해자들」(2025.09.02., 김현정 미국 위안부행동 CARE 대표)은 사실을 왜곡하고 반일 선동의 낡은 프레임을 반복한 글이다.
기고문은 최근 한국 정부의 미·일 외교를 두고 “야당 시절, 2015년 한일합의를 강력히 비판하던 모습과는 정반대였다”는 식으로 이재명 대통령을 공격하며, 위안부 문제를 다시금 정치적 동원의 도구로 삼았다. 이를 게재한 프레시안의 태도는 언론의 본령을 저버린 채 특정 세력과 연계된 정치적 기생주의에 다름 아니다.
 
첫째, ‘광장의 힘’의 오용
기고문은 이 대통령을 ‘광장의 힘’으로 당선된 인물이라 규정하며 압박한다. 그러나 ‘광장’이 곧 정의는 아니다. 반일 선동 세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광장의 구호는 결코 외교의 나침반이 될 수 없다. 대통령은 특정 세력의 청구서를 대신 결제할 수 없으며, 엄중한 국제사회 앞에서 국익과 현실을 우선해야 한다.
 
둘째,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의 문제
1996년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는 일본군 ‘위안부’ 단체의 일방적 진술에 치우쳤다. 위안부 ‘강제연행’의 결정적 근거라던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나는 조선사람을 이렇게 잡아갔다 – 나의 전쟁범죄 고백』, 1989)은 날조로 판명되었고, 아사히신문조차 관련 보도를 철회하며 공식 사죄했다. 그럼에도 이 허술한 인권 보고서를 계속 끌어와 반일 프레임을 유지하려는 것은 국제사회를 기만하는 것이다.
 
셋째, 베트남전과의 억지 연결
위안부 문제를 베트남전과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정치적 술책이다. 베트남전과 관련된 논의가 필요하다면 이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 정부가 다룰 문제이지, 위안부 단체가 반일 운동의 도덕적 무기로 소환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넷째, 언론의 책임
프레시안은 주요 언론으로서 사실에 기초해 정론직필을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이번 기고문 게재는 반일 포퓰리즘 세력의 목소리를 확대 재생산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는 언론의 공적 책무를 저버린 행위다.
 
위안부 문제는 특정 운동 세력의 정치적 무기나 언론의 선동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 반일 선동은 국민을 기만하고, 한국의 국제적 신뢰를 갉아먹는다. 시대착오적인 역사 왜곡 세력의 정치적 기생주의는 결국 사회의 우민화를 부를 뿐이다.
한일관계는 과거의 적개심이 아니라 미래의 협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것이 세계와 국민 앞에 떳떳할 유일한 길이다.
 
2025년 9월 3일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hakzhanls@hanmail.net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