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역사 정의를 독점하려는 정의연의 조직 이기주의를 고발한다!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성명서] 역사 정의를 독점하려는 정의연의 조직 이기주의를 고발한다! > 공지사항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img

공지사항

한일갈등타파연대

[성명서] 역사 정의를 독점하려는 정의연의 조직 이기주의를 고발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8-23 11:26

본문

[성명서] 역사 정의를 독점하려는 정의연의 조직 이기주의를 고발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15년 위안부 합의를 존중하겠다고 밝히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와 그 연대 단체들이 다시금 격한 반발을 쏟아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들의 목소리 뒤에 감춰진 조직적 이해관계와 권력화된 행태를 직시해야 한다. 피해자의 눈물을 이용해온 집단이 다시금 ‘역사 정의’를 독점하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합의를 부정하는 것은 ‘정의’가 아니라 ‘무책임’이다. 국가 간 합의는 국제사회의 신뢰 위에 세워진다. 그 합의가 설령 불완전하다 해도, 이를 일방적으로 뒤엎는 행위는 한국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피해자들의 기억을 정치적 흥정거리로 전락시킨다.
정의는 감정적 구호가 아니라 국제적 법리와 제도 위에서 세워져야 한다.
정의연의 ‘조직 이기주의’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정의연은 스스로를 ‘피해자 대변자’라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그들의 삶을 정치적 동원의 도구로 삼아왔다. 윤미향 전 대표가 불투명한 회계와 기부금 유용 문제로 법정에 섰던 사실은 결코 잊을 수 없다.
‘피해자 중심주의’를 외치던 단체가 피해자를 배제하고 조직의 이익을 최우선시했던 이중성을 국민은 이미 보았다.
피해자를 내세운 정치적 권력 장악 시도를 거부한다. 정의연과 일부 시민단체는 ‘역사 정의’라는 이름을 내세우지만, 그 실체는 정치적 영향력 확대와 조직적 생존에 있다.
피해자의 고통은 이들의 성역화된 담론 속에서 소비될 뿐, 그들에게는 당시 공창제하 실존과 별개로 ‘성노예’라는 단일한 서사의 2차 가해가 주어졌다. ‘피해자 인권’을 외치며 권력과 자금을 움켜쥐려는 구조야말로 또 다른 폭력이다.
역사 정의를 독점하려 하지 마라. 누가 ‘역사 정의’를 독점할 권리를 가졌는가. 정의연이 주장하는 ‘무한 책임론’은 법과 제도를 부정하고, 한국 사회 전체를 과거의 정치적 동원 속에 가두려는 것이다.
그것은 정의가 아니라 시대착오적 선동이며, 피해자의 명예를 지키는 길이 아니라 왜곡하는 길이다.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은 과거를 직시하면서도 미래 협력을 열어젖힌 사건이었다. 이제 한국과 일본은 더욱 발전된 관계 정립으로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의 초석을 놓아야 한다.
피해자의 고통을 정치적 동원에 가두지 않고, 화해와 협력 속에서 기억을 계승할 때 비로소 진정한 정의는 완성된다.
정의연과 일부 단체들이 ‘역사 정의’를 독점하며 피해자를 이용해온 구조적 위선을 단호히 거부한다. 윤미향 사건이 보여준 진실은, 그들이 피해자를 위한다는 명분 뒤에서 조직의 이익을 챙겨왔음을 증명했다.
한국 사회는 더 이상 이러한 위선적 반일동원정치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 지속 가능한 정의와 동아시아의 미래는 감정적 선동이 아니라, 합의 존중과 협력 위에서만 가능하다.
 
2025년 8월 23일
한일갈등타파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일갈등타파연대

대표이메일 : ehakzhanls@hanmail.net
Copyright © 한일갈등타파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