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보고서] 위안부 담론의 문화 권력화 경로 – 홀로코스트화 시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일갈등타파연대 작성일 25-07-28 12:50본문
[분석 보고서] 위안부 담론의 문화 권력화 경로 – 홀로코스트화 시도
1. 문제의식: ‘기억’이 권력이 될 때
일본군‘위안부’ 이슈는 과거사적 ‘여성 인권’이라는 명목 아래 지난 수십년 간 국내 여성계 등 특정 세력과 정치권에 의해 지나치게 도덕화되고 성역화되어 왔음. 이는 ‘피해자 중심주의’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어젠다였지만, 이 담론이 권력화되는 순간 ‘기억의 정치’는 진실 검증과 중대한 외교 문제에 직면하게 됨.
2. 담론의 구조화 경로
① 상징의 성역화
위안부상(평화의 소녀상) 설치, 기림의 날, 헌화 의례 등의 반복을 통해 위안부 이미지는 비판 불가능한 신전화된 권위로 격상.
② 문화 콘텐츠의 무장
· 연극, 소설, 미술, 다큐멘터리 등에서 피해자 정체성 고착.
· 문화예술계의 감성 동원이 열린 담론을 정서적으로 봉쇄하는 효과로 작용.
③ 국제 연대의 확장
· 홀로코스트와 유비(類比)를 주장하며 국제적 도덕 자본에의 편입 시도.
· 미국,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지의 해외 위안부상 설치와 연계된 ‘보편화’ 전략 추진.
3. 홀로코스트화 전략 5단계
❶ 도덕 프레임 선점: 반대자는 ‘친일파’, ‘2차 가해자’로 낙인.
❷ 기억 상징의 일반화: 위안부 = 소녀 = 피해자 = 여성
❸ 국제 네트워크 편입: 홀로코스트 단체, UN 등 국제기구 대상 선전전.
❹ 문화산업화: 공연, 영상, 간행물, 전시회 등으로 감성적 선동 확산.
❺ 정책·외교 의제화: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 시도, 교육 교재화, 해외 (민간)외교전 전개
4. 결과: 권력화된 기억, 위축되는 외교
① 외교 공간에서 위안부 담론은 사실 검토보다 도덕 감정의 충돌 장이 되었음.
② 일본 뿐 아니라 유럽, 미주 등 외국 시민사회와도 마찰을 빚음. 홀로코스트 단체로부터 위안부 홀로코스트화 거부됨.
③ ‘피해자 VS 가해자’ 도식에 기반한 신도덕주의는 비판을 봉쇄하며, 정치를 감정화시킴.
5. 제언: 기억의 권력화를 경계하며
① 위안부 이슈의 진정한 해결은 감성의 확대가 아닌, 사실의 검토와 외교적 조율에 있음.
② 위안소는 일제하 공창제를 아시아-태평양 전시기에 전장(인근)에 적용한 것.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2015년 한일'위안부'협상에서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목표로 합의 발표됨.
③ 위안부 이슈의 홀로코스트화는 사안의 성격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신뢰를 저해하는 고립적 전략임을 인식해야 함.
"기억은 존중되어야 하나, 왜곡된 기억의 독점은 외교적 재앙을 낳는다."
2025.7.28
한일갈등타파연대
- 이전글[성명서] 전쟁과 성: 인종주의를 넘어서 – 위안부 정치의 탈식민 선언 25.08.02
- 다음글[성명서] 위안부 이슈는 성노동/자 담론과 연결 재서사화 해야 - ‘기림의 날’에 즈음하여 묻다 25.07.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